분류 전체보기 6861

[ 모집 ] 업무공간, 투자유치 및 마케팅 필요한 입주희망 기업 모집 창업패키지 선정팀 가능

과학기술정보통신부 [상세내용] □ 사업명1인 창조기업 활성화 지원사업 □ 공고 제목[ 모집 ] 업무공간, 투자유치 및 마케팅 필요한 입주희망 기업 모집 창업패키지 선정팀 가능 □ 지원분야시설ㆍ공간ㆍ보육 □ 지역전국 □ 기관명코너스톤웍스 □ 지원대상대학생,일반인,대학,연구기관,일반기업,1인 창조기업 □ 지원연령만 20세 이상 ~ 만 39세 이하,만 40세 이상 □ 창업기간예비창업자,1년미만,2년미만,3년미만,5년미만,7년미만,10년미만 □ 접수 시작일2023-12-05 16:00:00 □ 접수 마감일2023-12-12 15:00:00 □ 등록일2023-12-05 17:56:29 □ 공고문 바로가기바로가기 클릭 □ 연락처070-7090-0843 □ 기관구분민간 □ 담당부서창업지원팀 □ 소관부처

충남대학교& KAIST "2023 실험실창업 글로벌 포럼 " 참가자 모집

충남대학교와 KAIST가 주최하는 "2023 실험실창업 글로벌 포럼"에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. 이 포럼은 행사와 네트워크 분야를 지원하며, 전국에서 지원 가능합니다. 지원 대상은 청소년, 대학생, 일반인, 대학, 연구기관, 일반기업, 1인 창조기업으로 제한되며, 연령은 만 20세 미만부터 만 40세 이상까지입니다. 창업 기간은 예비창업자부터 10년 미만까지 가능합니다. 접수는 2023년 12월 6일 9시부터 12월 14일 19시까지이며, 문의는 042-350-6434로 하시면 됩니다. 이 포럼은 공공기관인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주관하며, 담당부서는 기술창업혁신단입니다. [상세내용] □ 사업명충남대학교& KAIST "2023 실험실창업 글로벌 포럼 " 참가자 모집 □ 공고 제목충남대학교& KAIST "2..

2023년「강남 취‧창업허브센터」스마트오피스 입주기업 모집 공고

2023년「강남 취‧창업허브센터」스마트오피스 입주기업 모집 공고는 (주)오픈놀에서 진행되는 것으로, 시설ㆍ공간ㆍ보육 분야에서 전국적으로 입주기업을 모집하고 있다. 이 프로그램은 청소년부터 일반인, 대학생, 대학, 연구기관, 일반기업, 1인 창조기업까지 다양한 대상을 대상으로 하며, 연령은 만 20세 미만부터 만 40세 이상까지 지원 가능하다. 창업기간은 예비창업자부터 3년 미만까지 가능하며, 접수는 2023년 12월 6일부터 12월 18일까지 진행된다. 문의는 070-4206-0809로 하면 되며, 이 프로그램은 민간 기관인 투자사업부에서 담당하고 있다. [상세내용] □ 사업명2023년「강남 취‧창업허브센터」스마트오피스 입주기업 모집 공고 □ 공고 제목2023년「강남 취‧창업허브센터」스마트오피스 입주기업..

DSC 오픈창업데모데이 'D-DAY' 참여 예비창업자모집

대전에서 주식회사 씨오쟁이가 주최하는 DSC 오픈창업데모데이 'D-DAY'에 대한 참여 예비창업자를 모집합니다. 이 행사는 행사와 네트워크 분야를 지원하며, 대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합니다. 지원 대상은 만 20세 이상부터 만 39세 이하와 만 40세 이상입니다. 창업 기간은 예비창업자이며, 접수는 2023년 12월 6일 16:00부터 12월 17일 23:00까지 가능합니다. 문의는 07075782080으로 연락하시면 됩니다. 이 사업은 민간 기관에서 운영되며, 담당 부서는 지원팀입니다. [상세내용] □ 사업명DSC 오픈창업데모데이 'D-DAY' □ 공고 제목DSC 오픈창업데모데이 'D-DAY' 참여 예비창업자모집 □ 지원분야행사ㆍ네트워크 □ 지역대전 □ 기관명주식회..

스타트업 세미나「 1월 스타트UP! 맞춤 자금 확보 세미나 」 참가자 모집

스타트업 세미나「 1월 스타트UP! 맞춤 자금 확보 세미나 」가 전국에서 참가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. 이 세미나는 스타트업인증센터에서 주최하며, 창업교육 분야에서 지원합니다. 지원 대상은 청소년, 대학생, 일반인, 대학, 연구기관, 일반기업, 1인 창조기업으로 제한되며, 지원 연령은 만 20세 미만부터 만 40세 이상까지입니다. 창업 기간은 예비창업자부터 10년 미만까지 다양하게 받아들입니다. 접수는 2023년 12월 6일부터 2024년 1월 8일까지이며, 연락처는 02-585-0210입니다. 이 세미나는 민간 기관인 스타트업인증센터의 사업부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. [상세내용] □ 사업명스타트업 세미나「 1월 스타트UP! 맞춤 자금 확보 세미나 」 참가자 모집 □ 공고 제목스타트업 세미나「 1월 스타트U..

서초구 방배동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입주기업 1~3인실 수시모집

서초구 방배동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에서는 1~3인실을 수시모집하고 있습니다. 이 사업은 시설ㆍ공간ㆍ보육 분야에 속하며, 전국적으로 진행됩니다. 지원을 받는 기관은 (주)오퍼스이앤씨이며, 지원 대상은 1인 창조기업입니다. 지원 대상 연령은 만 20세 미만, 만 20세 이상 ~ 만 39세 이하, 만 40세 이상이며, 창업 기간은 7년 미만입니다. 접수는 2023년 12월 8일부터 12월 20일까지 진행되며, 연락처는 02-6221-2022입니다. 이 사업은 민간 기관이 주최하며, 담당 부서는 경영지원팀이며, 소관 부처는 입니다. [상세내용] □ 사업명1인 창조기업 활성화 지원사업 □ 공고 제목서초구 방배동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입주기업 1~3인실 수시모집 □ 지원분야시설ㆍ공간ㆍ보육 □ 지역전국 □ 기관명..

2024년 정보보호 해외인증제도 획득 지원사업 참가기업 모집 공고

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(KISA),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(KISIA)는 국내 정보보호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24년 정보보호 해외인증제도 획득 지원사업에 대한 공고를 하였습니다. 이 프로그램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며, 신청기간은 2023년 12월 4일부터 12월 28일까지입니다. 지원 내용으로는 시험인증 비용, 컨설팅 비용, 국제인증포럼 및 단체 활동비용, 법정대리인 선임비 등이 포함되며, 정부지원금으로 2개사에는 7,500만원(기업 자부담 2,500만원), 1개사에는 3,600만원(기업 자부담 1,200만원)이 지원됩니다. 사업수행기관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이며, 소관부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입니다. [상세내용] □ 공고 제목2024년 정보보호 해외인증제도 획득 지원사업 참가기업 ..

기업마당 2023.12.06

[경기] 서부권역 2023년 5차 중소기업 개발생산판로 맞춤형 지원사업 공고

경기도 서부권역에서 소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2023년 5차 중소기업 개발생산판로 맞춤형 지원사업이 공고되었습니다. 이 사업은 창안개발, 제품생산, 판로개척에 필요한 비용의 50%를 지원하며, 기업당 연간 2,000만원(시흥시는 1,500만원)까지 지원됩니다. 창안개발은 산업재산권과 국내외 규격인증 취득을 포함하며, 제품생산은 시험분석지원을 제공하고, 판로개척은 국내 전시 및 박람회 참가, 제품 패키지 개선, 제품 카탈로그 제작 등을 지원합니다. 이 사업은 2023년 12월 4일부터 12월 14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며, 사업수행기관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입니다. [상세내용] □ 공고 제목[경기] 서부권역 2023년 5차 중소기업 개발생산판로 맞춤형 지원사업 공고 □ 지원대상중소기업 □ 신청기간20231..

기업마당 2023.12.06

2023년 출판경력자 재취업 지원사업 추가모집 공고

2023년 출판경력자 재취업 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추가 모집하고 있습니다. 신청기간은 2023년 12월 4일부터 12월 15일까지이며,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. 이 사업은 2023년 1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재취업자를 정규직으로 채용한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가 20인 이하인 출판 및 유관 산업계 기업을 지원합니다. 지원금은 최대 6개월 동안 근로자에게는 월 60만원(총 360만원), 기업에게는 채용지원금으로 월 60만원(총 360만원)을 지원합니다. 사업 참여 기업당 최대 3명의 근로자가 가능하며, 지원금 인정 근로기간은 2023년 1월 1일부터 2024년 3월 말까지입니다. 이 사업에 관심이 있는 출판인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. [상세내용] □ 공고 제..

기업마당 2023.12.06

2024년 대ㆍ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 공고

2024년 대ㆍ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공고입니다. 이 사업은 대ㆍ중소기업이 위험성평가 중심의 안전보건에 대한 상생 해법을 스스로 마련하고,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우수 모델을 발굴ㆍ확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사내ㆍ외 협력업체 및 지역 중소기업과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100인 이상의 모기업(건설업 제외)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위해 모기업은 사내ㆍ외 협력업체와 지역 중소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야 합니다. 이 사업은 안전보건 수준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모기업과 정부가 매칭하여 비용을 지원합니다. 정부의 지원 예산규모는 90억원이며, 참여 기업은 산업안전보건 자율실천기간 부여, 정부 동반성장지수 평가 가점, 공단 재정지원사업(융자ㆍ보조금) 우대 및 각종 금융..

기업마당 2023.12.06
728x90
반응형